본문 바로가기
이것 저것 이야기

대남전단 미상물체 대남전단 뜻 왜 뿌리나?

by 정보를 공유하는 김녀사 2024. 5. 29.

5월 28일 23시 34경에 갑지기 위급 재난 문자가 왔네요. 다들 받으셨겠죠? 이게 뭔가 했는데, 북한에서 대남전단지를 뿌리는 미상물체가 식별되었다는 거에요. 이번 시간에 이 대남전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

 

 

 

대남전단 미상물체 대남전단 뜻  왜 뿌리나?

대남전단-미상물체-문자-내용
대남전단 미상물체 재난 문자

 

대남전단 뜻

대남전단은 북한이 남한을 대상으로 체제 우월성을 과시하거나 우리 정부를 비난하는 내용을 담은 전단지를 말해요. 참고로, 일본어 '비라(ビラ)'에서 유래된 '삐라'라는 용어로도 불리죠.

 

이 전단지는 주로 북한 정권의 선전 목적으로 사용되는데요. 보통 남한 정부와 체제에 대한 비판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요. 이러한 방법으로 북한은 자신들의 체제 우월성을 선전하고자 하는 거죠.

 

예전에 안산 상록수역 인근에도 이런 대남전단이 엄청 떨어진 것을 본 적이 있어 112로 전화해 신고를 했던 기억이 나네요.

 

대남전단의 역사

대남전단 살포는 6.25 전쟁 당시부터 시작됐어요. 그 당시 유엔군과 대한민국 국군은 북한군을 상대로 다양한 내용의 삐라를 살포했죠. 예를 들어, 중공군이 북한군에게 좋지 않은 무기만 넘겨주고 있다는 내용 등을 담고 있었어요.

 

그 이후에도 북한은 대남전단 살포를 지속적으로 활용해왔어요. 특히 1980년대 이후로는 더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남북관계가 악화될 때마다 더욱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죠.

 

대남전단 관련 논란

대남전단 살포에 대해서는 다양한 논란이 있어요. 북한은 이를 체제 전복 행위로 간주하고 강력히 반대해왔죠. 반면, 일부에서는 대남전단이 남한 주민들에게 북한 체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해요.

 

또한, 대남전단 살포가 남북관계 악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면서, 이를 금지하는 법안이 논의되기도 했어요. 이처럼 대남전단 문제는 남북 간 첨예한 갈등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답니다.

 

대남전단은 왜 뿌리나?

 

먼저, 북한이 대남전단을 뿌리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자기네 체제가 얼마나 좋은지, 남한보다 얼마나 우월한지를 알리고 싶어서예요. 한마디로, 자기 자랑하기랄까요? 이렇게 하면 북한 주민들 사이에서는 '우리가 최고야' 하는 사기가 올라가고, 남한 사람들 사이에서는 '저기도 괜찮은가 보다' 하는 생각이 들게 만들려는 거죠.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북한의 전단이 단순히 자랑만 하는 건 아니에요. 그 안에는 남한 정부를 비판하는 내용도 많아요. 이건 마치, '남한 정부는 별로야. 우리를 따라와!'라고 말하는 것 같아요. 이를 통해 남한의 정치 상황에 영향을 미치려는 의도가 숨어 있어요.

 

그리고, 북한은 이 전단을 통해 자신들의 사회주의 체제와 통일을 위한 노력도 선전해요. '우리는 이렇게 통일을 위해 열심히 하고 있어요. 여러분도 함께해요!'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며, 남한 사람들의 동조를 얻으려고 해요. 이렇게 함으로써 북한 주민들에게는 희망을, 남한 주민들에게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려는 거죠.

 

또한, 이런 전단 살포를 통해 남북관계를 일부러 악화시키려는 의도도 있어요. '우리가 이렇게 하면 남한이 어떻게 반응할까?'하며 남한 정부의 반응을 살피고, 자신들의 입장을 강화하려는 전략적인 움직임이에요. 이를 통해 남한 정부에 압박을 가하고, 자신들의 목소리를 더 크게 내려고 하는 거예요.

 

그래서, 북한의 이런 행동은 단순히 전단을 뿌리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어요. 자신들의 체제를 선전하고, 남한 정부를 비판하며, 통일을 위한 노력을 알리고, 남북관계에 영향을 미치려는 다양한 목적이 숨어 있답니다.

 

그런데 우리는 잘 알 잖아요 저 윗동네가 얼마나 힘든 상황인지, 이런 거짓말 같은 전단지를 본다고 누가 선동이 될까요?

 

마무리

오늘은 갑자기 운동 중 대남전단관련 재난문자를 받고 문뜩 이걸 왜 뿌리나 생각하며 포스팅을 해 봤네요. 아무쪼록 위 내용이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만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